니코시아 국제공항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니코시아 국제공항은 1930년대 초 영국 공군 기지로 건설되어 1974년 터키의 키프로스 침공으로 인해 폐쇄된 공항이다. 1939년 활주로가 건설되었고, 제2차 세계 대전 중 확장되었다. 1950년대부터 1970년대 초까지 키프로스의 주요 공항으로 사용되었으며, 1968년 새 터미널이 개장했다. 1974년 쿠데타 이후 일시 폐쇄되었다가, 터키의 침공으로 인해 유엔 통제 구역이 되었고, 이후 현재까지 운영이 중단되었다. 현재는 유엔 평화유지군 기지로 사용되고 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니코시아의 건축물 - GSP 스타디움
GSP 스타디움은 테오 데이비드 건축가가 설계하여 1999년 10월 6일 개장한 키프로스 니코시아에 위치한 경기장이며, 키프로스 최대 규모의 축구 경기장으로 키프로스 축구 국가대표팀의 홈구장으로 사용된다. - 키프로스의 공항 - 라르나카 국제공항
라르나카 국제공항은 키프로스 라르나카에 위치하며, 니코시아 국제공항 폐쇄 후 대체 공항으로 개발되어 키프로스의 주요 관문이자 유럽, 아프리카, 러시아, 중동을 잇는 항공 허브 역할을 한다. - 키프로스의 공항 - 파포스 국제공항
파포스 국제공항은 1982년 개항하여 에르메스 공항 유한회사가 운영하며 라이언에어 기지를 포함한 다양한 편의시설과 화물 처리 시설을 갖춘 키프로스의 공항으로, 키프로스 국가 방위군의 공군 기지 역할도 수행하며 다양한 항공편과 교통수단을 제공한다.
니코시아 국제공항 | |
---|---|
개요 | |
![]() | |
현지 이름 | 그리스어: (디에트네스 아에로드로미오 레프코시아스) 튀르키예어: (레프코샤 울루스라라스 하와알라니) |
IATA 코드 | NIC |
ICAO 코드 | LCNC |
공항 유형 | 군사 (과거에는 민간 공동 사용) |
운영 | UNFICYP |
소재 도시 | 니코시아 |
위치 | 라카타미아, 니코시아 |
활주로 정보 | |
활주로 1 | 14/32 |
활주로 1 길이 | 2,707m |
활주로 1 표면 | 아스팔트 |
활주로 2 | 09/27 |
활주로 2 길이 | 1,825m |
활주로 2 표면 | 아스팔트 |
기타 정보 | |
고도 | 220m |
2. 역사
니코시아 국제공항은 1930년대 초 영국 공군 기지인 RAF 니코시아로 처음 건설되어 1974년까지 키프로스의 주요 공항으로 사용되었다. 초기 활주로는 1939년 쉘 등에 의해 건설되었으며, 미스르 에어가 드 하빌랜드 익스프레스 항공기로 운항을 시작했다.
제2차 세계 대전 중에는 공항 시설과 활주로가 확장되었고, 연합군 폭격기가 루마니아 플로이에슈티 유전 폭격 후 귀환 시 이용하기도 했다.[2][17] 전쟁 이후 상업 항공 서비스가 재개되어 영국 해외 항공, 키프로스 항공, MEA 등이 취항했다. 초기에는 니슨 오두막을 터미널로 사용했으나, 1949년 5만파운드를 들여 첫 정식 터미널 건물이 완공되었다.
1959년에는 터미널과 주기장이 확장되었고, 민간 항공 수요 증가로 인해 1966년 영국 공군은 기지에서 철수했다. 1968년에는 110.00000000000001만파운드를 투입하여 현대적인 새 터미널이 개장했으며, 이는 한 번에 800명의 승객과 11대의 항공기를 수용할 수 있었다.[3][18][4][19][20]
1974년 터미널 추가 확장 계획이 있었으나,[3][18] 같은 해 7월 발생한 1974년 키프로스 쿠데타와 이어진 터키의 키프로스 침공으로 인해 공항 운영은 중단되었다. 터키군의 폭격과 지상 공격으로 공항은 크게 파괴되었으며,[5] 이후 유엔의 통제 하에 들어가 키프로스 유엔 완충 지대의 일부가 되었다. 1975년 재개 논의가 있었으나[6][23] 실패했고, 1977년 마지막 상업 비행을 끝으로 공항은 완전히 폐쇄되었다. 현재는 UNFICYP 본부 등으로 사용되고 있다. 공항 폐쇄 후 라르나카 국제공항, 파포스 국제공항, 에르칸 국제공항 등이 키프로스의 항공 교통을 담당하고 있다.
2. 1. 초기 역사 (1930년대 ~ 1940년대)
니코시아 국제공항은 1930년대 초 영국 공군 기지인 RAF 니코시아로 처음 건설되어 1974년까지 키프로스의 주요 공항으로 기능했다. 초기에는 공군 기지로 사용되었으며, 현재도 부지는 영국 국방부 소유로 남아 있다. 1939년에는 셸과 파이라이드 & 미카엘리데스 주식회사(Pierides & Michaelides Ltd.)가 활주로를 건설했으며, 미스르 에어(Misr Air)가 4개의 엔진을 장착한 드 하빌랜드 익스프레스 항공기를 이용하여 운항했다.제2차 세계 대전 중에는 현지 계약업체인 스텔리오스 요아누(Stelios Joannou)와 요르고스 파라스케베데스(George Paraskevaides)가 공항 시설과 활주로를 확장했다. 특히 1943년부터 1944년까지 연합군이 루마니아 플로이에슈티 유전 지대를 폭격하는 타이달 웨이브 작전을 수행하고 귀환 시, 미국 육군 항공대의 B-24 리버레이터 폭격기가 이 공항의 활주로를 사용했다.[17][2]
제2차 세계 대전이 끝난 후 상업 항공 서비스가 재개되어, 1948년까지 미스르 에어, BOAC, 키프로스 항공, MEA 등이 정기 노선을 운항했다. 당시 공항 시설은 제한적이어서, 3개의 니슨 오두막 건물이 세관, 출입국 관리, 민간 항공, 신호, 교통 및 운영 서비스를 처리하는 공항 터미널 빌딩으로 사용되었다. 공항 내 레스토랑은 NAAFI(Navy, Army and Air Force Institutes)에서 운영했다.
1949년 5월에는 공공사업부(Public Works Department)가 설계하고 건설한 첫 번째 정식 터미널 건물이 개장했다. 건설 비용은 당시 5만파운드였다.
2. 2. 확장과 전성기 (1950년대 ~ 1970년대 초)
제2차 세계 대전 이후 상업 서비스가 재개되었고, 1948년에는 미스르 에어, BOAC, 키프로스 항공, MEA 등이 정기 노선을 운항했다.초기 공항 시설은 제한적이어서, 3개의 니슨 오두막 건물이 세관, 출입국 관리, 민간 항공, 신호, 교통 및 운영 서비스를 담당하는 터미널 건물로 사용되었다. 레스토랑은 NAAFI(해군, 육군 및 공군 연구소)에서 운영했다.
1949년 5월, 공공사업부가 설계하고 건설한 첫 터미널 건물이 문을 열었다. 건설 비용은 5만파운드였다. 이 터미널은 1959년에 주기장과 함께 확장되었다. 1968년 새 터미널이 개장하면서 기존 터미널은 비워졌지만, 니코시아 비행 클럽과 다른 비행 단체들은 계속 사용했다.[18]
민간 항공 교통량이 급증하면서 공간이 부족해지자, 영국 공군(RAF)은 1966년 니코시아 기지에서 철수했다. 1968년 3월 27일, 현대적인 새 터미널이 개장했다. 이 터미널은 서독 비스바덴의 '도르슈 운트 게르만'(Dorsch und Gehrmannde)이 설계하고 키프로스 현지 건설사인 '사이바코'(Cybarco)가 건설했다. 총 건설 비용은 110.00000000000001만파운드였으며, 이 중 50만파운드는 영국 정부가 지원했다.[19][20] 새 터미널은 동시에 800명의 승객을 수용할 수 있었고, 주기장은 11대의 항공기를 수용할 수 있었다.
1974년 6월에는 터미널을 확장하고 주기장을 16대(이 중 2대는 광동체 항공기용) 규모로 늘릴 계획이 있었으나,[18] 1974년 키프로스 쿠데타와 이어진 터키의 키프로스 침공으로 인해 실현되지 못했다.
2. 3. 키프로스 분쟁과 폐쇄 (1974년)
1974년 6월, 터미널을 확장하고 에이프런을 항공기 16대 수용 규모(이 중 2곳은 광동체 항공기용)로 확장할 계획이 있었으나[3][21], 이는 실현되지 못했다. 키프로스 분쟁이 격화되면서 1974년 7월 15일, 그리스계 민족주의자들이 일으킨 쿠데타로 민주적으로 선출된 마카리오스 3세 대통령이 축출되자 공항은 일시적으로 폐쇄되었다.[5] 7월 17일에는 쿠데타를 지원하기 위해 그리스에서 키프로스로 병력을 수송하는 데 공항이 사용되었고,[22] 7월 18일 민간 항공 교통이 잠시 재개되었으나, 섬을 떠나려는 외국인과 휴가객들로 인해 혼란이 빚어졌다.[5][22]
불과 이틀 뒤인 1974년 7월 20일, 터키는 키프로스 섬 북부에 거주하는 터키계 주민 보호를 명분으로 키프로스 침공("아틸라 작전")을 개시했다. 이 과정에서 니코시아 공항은 터키 공군에 의해 심하게 폭격당했으며, 터키 지상군의 공격 목표가 되었다.[5] ELDYK과 키프로스 국가방위대 특수부대는 공항을 방어하기 위해 격렬히 저항했다.
격렬한 전투 끝에 공항은 UN의 통제 하에 들어갔다. 유엔 안전 보장 이사회는 공항을 유엔 보호 구역(UNPA)으로 선포하고, 양측 군대가 공항 경계에서 최소 500m 후퇴하도록 요구했다. 1974년 8월 16일 휴전 협정이 체결되면서 니코시아 공항은 섬의 그리스계 키프로스인과 터키계 키프로스인 공동체를 분리하는 유엔 완충 지대의 일부가 되었으며, 현재까지 민간 공항으로서 운영되지 못하고 있다.
1975년 초, 양측 지도자 간에 공항 재개 논의가 있었고,[6][23] 빈 협상(1975년 4월 28일~5월 3일)에서 원칙적인 합의가 이루어지기도 했으나,[8][25] 최종적인 합의에는 이르지 못했다. 그리스계 지도자 마카리오스 대주교는 초기에 터키계와의 공동 통제안을 거부한 바 있다.[7][24] 공항 폐쇄 이후 마지막 상업 비행은 1977년 유엔의 특별 허가 하에 이루어졌다. 당시 1974년 침공 때부터 공항에 발이 묶여 있던 키프로스 항공 소속 호커 시들리 트라이던트 3대가 영국항공 엔지니어들의 도움으로 회수되어 런던으로 이송되었다. 이 중 한 대(호커 시들리 트라이던트 2E)는 현재 영국 둑스포드 제국 전쟁 박물관에 전시되어 있다.
현재 니코시아 공항 부지는 UNFICYP의 본부("블루 베레 캠프")로 사용되고 있으며, 유엔 헬리콥터 기지로도 활용된다. 또한 양측 간 평화 회담 장소 및 유엔 직원들을 위한 시설로 이용되고 있다. 니코시아 공항 폐쇄에 따라, 키프로스 공화국 측은 1975년 라르나카 국제공항을, 1983년 파포스 국제공항을 개항했다. 북키프로스 측은 2004년 에르칸 국제공항을 개항했으나, 키프로스 공화국 정부는 이를 합법적인 출입국 지점으로 인정하지 않고 있다. 이후 유엔 통제 하에 공항을 재개하려는 시도가 있었으나 실현되지 않았으며,[9] 2013년에는 마이클 파라스코스가 공항 부지를 면세 산업 지대로 전환할 것을 제안하기도 했다.[26]
2. 4. 분단 이후 (1975년 ~ 현재)
1974년 터키의 침공 이후 니코시아 국제공항은 사실상 폐쇄 상태에 들어갔다. 1975년 초, 그리스계 키프로스인과 터키계 키프로스인 지도자들은 공항 재개 문제를 논의했다.[6][23] 그리스계 지도자인 마카리오스 대주교는 처음에는 공동 통제 하의 공항 재개라는 터키계의 제안을 거부했으나,[7][24] 1975년 4월 28일부터 5월 3일까지[25] 비엔나에서 열린 협상에서 원칙적으로 재개에 합의했다.[8] 그러나 이를 위한 공동위원회의 논의는 별다른 성과를 거두지 못했다.
1974년 침공 이후 니코시아 공항에서의 마지막 민간 항공기 운항은 1977년에 이루어졌다. 유엔의 특별 승인 아래, 공항에 발이 묶여 있던 키프로스 항공 소속 호커 시들리 트라이던트 3대가 브리티시 에어웨이즈 엔지니어들에 의해 회수되어 런던으로 옮겨졌다. 이 중 트라이던트 2E 1기는 현재 다크스포드 제국 전쟁 박물관에 전시되어 있다.
터키 침공 당시 공항은 키프로스군과 터키군 간의 격렬한 전투 현장이 되었다. 이로 인해 유엔 안전 보장 이사회는 공항을 유엔 보호 구역(UNPA)으로 지정하고 양측 군대가 공항 경계에서 최소 500m 이상 물러나도록 했다. 1974년 8월 16일 정전 협정이 체결되면서 니코시아 공항은 섬을 남북으로 가르는 유엔 완충 지대(그린 라인)의 일부가 되었다. 이후 공항은 본래의 기능을 완전히 상실했지만, UNFICYP의 본부인 '블루 베레 캠프(Blue Beret Camp)'로 사용되고 있다. 유엔 헬리콥터 기지로 활용되며, 남북 키프로스 간 평화 회담 장소 및 유엔 직원들을 위한 시설로도 쓰인다.
니코시아 공항 폐쇄 이후, 키프로스 공화국(남키프로스)은 1975년 라르나카 국제공항을, 1983년 파포스 국제공항을 개항했다. 북키프로스는 2004년 에르잔 국제공항을 열었다. 라르나카와 에르잔 공항 모두 이전 영국 공군 기지 부지에 건설되었다. 다만, 키프로스 공화국 정부는 에르잔 국제공항을 합법적인 출입국 지점으로 인정하지 않으며, 해당 공항의 항공편은 터키로만 운항한다.
유엔의 관리 하에 니코시아 공항을 평화 구축의 일환으로 재개하자는 제안이 여러 차례 있었으나, 그리스계와 터키계 양측 모두 이를 적극적으로 추진하지는 않았다. 2013년 코르나로 연구소의 마이클 파라스코스(Michael Paraskos)는 이미 3개의 공항이 운영 중이므로 니코시아 공항을 재개할 필요성이 낮다고 주장하며, 대신 부지를 외국 첨단 기술 기업을 유치하는 면세 산업 지대로 전환하여 양측 주민들을 고용하자고 제안했다.[9][26]
2022년 8월, 키프로스 연구소는 UNFICYP와 협력하여 니코시아 공항(NIC) 플랫폼을 공개했다. 이 플랫폼은 터미널, 관제탑, 격납고 등 공항 내부와 방치된 항공기 3대의 모습을 가상으로 둘러볼 수 있게 하며, 공항 운영 당시의 역사적인 사진과 영상 자료도 제공한다.[10]
3. 주요 사건 및 사고
니코시아 국제공항에서는 개항 이후 여러 사건 및 사고가 발생했다. 주요 사건들은 다음과 같다.
3. 1. 1950년대
- 1956년 3월 3일, 스카이웨이즈 리미티드가 운행하던 핸들리 페이지 헤르메스 IV (기체 부호: G-ALDW) 항공기가 지상에서 폭파되었다. 앞쪽 화물칸에 설치된 시한폭탄이 원인이었으며, 68명의 승객이 영국으로 출발하기 20분 전이었으나 다행히 인명 피해는 없었다.[11][12]
- 같은 해 4월 27일에는 영국 공군 소속의 더글러스 다코타 항공기가 지상 주기 중에 폭탄에 의해 파괴되었다. 이는 키프로스의 독립을 추구하던 무장 단체인 EOKA( EOKA|키프로스 민족 투쟁 기구영어 )가 설치한 것으로 추정된다.
3. 2. 1960년대
1967년 4월 20일, 스위스 글로브 항공 소속의 브리스톨 브리타니아 항공기가 악천후 속에서 공항으로 착륙하던 중 추락하는 사고가 발생했다. 이 사고로 인해 탑승자 130명 중 126명이 사망하고 단 4명만이 생존했다.[13]3. 3. 1970년대
1973년 1월 29일, 이집트 항공 741편으로 운항하던 Il-18 항공기(등록 번호 SU-AOV)가 공항으로 접근하던 중 키레니아 산맥(펜타닥틸로스 산맥)에 추락하여 탑승자 37명(승무원 7명, 승객 30명) 전원이 사망했다.[14]같은 해 8월 29일, 다마스쿠스에서 출발하여 니코시아를 경유, 프라하로 향하던 체코슬로바키아 항공 CSA531편(Tu-104)이 착륙 중 활주로를 벗어나는 오버런 사고를 일으켰다. 이 사고로 인한 사망자는 보고되지 않았으며, 항공기 잔해는 여전히 공항 근처에 남아 있다.
1974년 7월 20일, 터키의 키프로스 침공 중 키프로스 항공 소속의 비어있던 항공기 두 대가 터키 공군의 공격으로 지상에서 파괴되었다. 파괴된 항공기는 호커 시들리 HS121 트라이던트 1E(등록 번호 5B-DAE)와 트라이던트 2E(등록 번호 5B-DAB)였다.
이틀 뒤인 7월 22일에는 니키 작전(Επιχείρηση Νίκηel)으로 명명된 작전 중 비극이 발생했다. 그리스 코만도 부대를 공항 방어를 위해 공수하던 그리스 공군 제354 수송 비행대 '페가소스' 소속의 노르 아틀라스 및 C-47 수송기들이 키프로스 방공포의 아군 오사로 격추되어 특수부대원 33명이 사망했다.[15][30]
4. 미래 전망
유엔 통제 하에 니코시아 공항을 친선 조치로 재개할 계획이 여러 차례 제안되었으나, 현재까지 그리스계 키프로스인이나 터키계 키프로스인 양측 모두 이 방안을 진지하게 추진하지는 않았다.
2013년, 키프로스 코르나로 연구소의 마이클 파라스코스는 키프로스 내에 이미 3개의 공항이 운영되고 있으므로, 정치적 합의가 이루어진다 해도 니코시아 공항이 더 이상 필요하지 않을 것이라고 주장했다. 그는 공항 부지를 외국 첨단 기술 기업을 유치하고 그리스계와 터키계 키프로스인을 모두 고용하는 면세 산업 지대로 전환할 것을 제안했다.[9]
한편, 2022년 8월 키프로스 연구소가 UNFICYP와 협력하여 NIC 플랫폼을 출시했다. 이 플랫폼은 메인 터미널, 관제탑, 격납고 및 공항 부지 내 비행기 3대의 접근 가능한 모든 구역에 대한 완전한 가상 투어를 제공한다. 또한, 공항이 활발히 운영되던 시절의 역사적인 이미지와 비디오 컬렉션도 제공하여 과거의 모습을 엿볼 수 있게 한다.[10]
참조
[1]
웹사이트
The United Nations Protected Area and Old Nicosia Airport
https://unficyp.unmi[...]
2015-11-20
[2]
뉴스
Civil engineers
http://gale.cengage.[...]
1972-10-27
[3]
서적
Nicosia the Capital of Cyprus Then and Now
1990
[4]
뉴스
Nicosia: Our Other Airport
The Cyprus Mail
2009-11-08
[5]
뉴스
‘None of us expected what happened next’
The Cyprus Mail
2006-07-22
[6]
간행물
Special report by the UN Secretary-General on development in Cyprus
UN Docs. S/11624
1975-02-18
[7]
간행물
Crisis on Cyprus: 1975
1975
[8]
간행물
The final communiqué of 3 May 1975 contained the following: 'Agreement was reached in principle on the reopening of the Nicosia International Airport … A joint committee will be set up by the leaders of the two communities for the purpose of opening the airport for full civilian use
UN Doc. S/11684, 4 May 1975, Annex, and UN Doc. S/11717, 9 June 1975, para. 52
1975-05-03
[9]
뉴스
Bold plan to regenerate derelict Nicosia airport
http://cyprus-mail.c[...]
The Cyprus Mail
2013-09-22
[10]
웹사이트
The NIC Project
http://nic-project.c[...]
2023-01-27
[11]
간행물
Civil Aviation: Hermes Sabotage
http://www.flightglo[...]
Flight International
1956-03-16
[12]
뉴스
ASN Aircraft accident Handley Page HP.81 Hermes IV G-ALDW Nicosia
http://aviation-safe[...]
Aviation Safety Network
2014-10-26
[13]
웹사이트
HB-ITB, Globe Air, Bristol Britannia, 20 April 1967
https://asn.flightsa[...]
2024-11-07
[14]
뉴스
Egyptian plane crashes since 1970
http://www.cnn.com/2[...]
CNN
2004-01-03
[15]
서적
Hellenic Wings at Cyprus
Athens
2004
[16]
간행물
House of Commons Hansard Written Answers for 19 Jan 2005 (pt 6)
https://publications[...]
2005-01-19
[17]
뉴스
Civil engineers
http://gale.cengage.[...]
1972-10-27
[18]
서적
Nicosia the Capital of Cyprus Then and Now
1990
[19]
서적
Nicosia the Capital of Cyprus Then and Now
1990
[20]
뉴스
Nicosia: Our Other Airport
The Cyprus Mail
2009-11-08
[21]
서적
Nicosia the Capital of Cyprus Then and Now
1990
[22]
뉴스
‘None of us expected what happened next’
The Cyprus Mail
2006-07-22
[23]
간행물
Special report by the UN Secretary-General on development in Cyprus
UN Docs. S/11624
1975-02-18
[24]
간행물
Crisis on Cyprus: 1975
1975
[25]
간행물
The final communiqué of 3 May 1975 contained the following: 'Agreement was reached in principle on the reopening of the Nicosia International Airport … A joint committee will be set up by the leaders of the two communities for the purpose of opening the airport for full civilian use
UN Doc. S/11684, 4 May 1975, Annex, and UN Doc. S/11717, 9 June 1975, para. 52
1975-05-03
[26]
뉴스
Bold plan to regenerate derelict Nicosia airport
http://cyprus-mail.c[...]
The Cyprus Mail
2013-09-22
[27]
간행물
Civil Aviation: Hermes Sabotage
http://www.flightglo[...]
Flight International
1956-03-16
[28]
뉴스
ASN Aircraft accident Handley Page HP.81 Hermes IV G-ALDW Nicosia
https://asn.flightsa[...]
Aviation Safety Network
2014-10-26
[29]
뉴스
Egyptian plane crashes since 1970
https://edition.cnn.[...]
CNN
2004-01-03
[30]
서적
Hellenic Wings at Cyprus
Athens
2004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